고대철학
-
고대철학의 개요philosophy/the ancient world 2022. 7. 4. 14:52
고대철학의 개요 [밀레투스의 탈레스]참고:https://sikguy.tistory.com/2기원전 624~546년경-우주의 근본물질은 무엇인가?라는 의문을 제기. 우주의 모든 것이 궁극적으로 단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이 관념을 일원론이라고 하는데 그와 그의 학도들은 그 대답으로 ‘물’을 제시함. ‘물’로 부터 모든 것이 생성될 수 있고, ‘물’은 삶의 필수적인 것이며, ‘물’은 움직일 수 있고, ‘물’은 변화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설명. [노자]참고:https://sikguy.tistory.com/4기원전 6세기경-인간은 욕망과 자유의지 때문에 (모든 존재의 근원이자 눈에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을 포함한 모든 사물의 근원인) 도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또한 세상의 조화로운 균형을..
-
‘삶이 자연스럽게 잘 흘러가는 것이 행복이다’(키프로스의 제논,기원전332~265년)philosophy/the ancient world 2022. 6. 28. 16:39
‘삶이 자연스럽게 잘 흘러가는 것이 행복이다’(키프로스의 제논,기원전332~265년) 스토아학파의 창시자이자 ‘키프로스의 제논’ 혹은 ‘키티온의 제논’이라고도 불리우는 고대 철학자 제논(Zeno of Citium)은 기원전 332년 터키 남부의 섬 키프로스에서 태어났다. 무역상의 아들로써 자연스럽게 상인의 길을 걸었던 그가 ‘철학’을 만난 것은 어떤 우연한 사고 덕분이었다고 한다. 그 사고란 항해 도중 배가 난파된 것이었다. 포이케에서 뿔고둥을 배에 싣고 가던 제논은 페이라이에우스 근처에서 풍랑을 만나 배가 난파되고 말았다. 다행히 배는 아테네로 기착했고, 그곳에서 우연히 어느 서점에 들른 그는 그 서점에서 소크라테스에 대해 쓰여진 책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 책에 관심을 가지게 된 그는 바로 그곳에서 크..
-
‘가장 행복한 사람은 가장 적게 소유한 것에 만족하는 사람이다’(시노페의 디오게네스, 기원전 404~323년경)philosophy/the ancient world 2022. 6. 21. 17:28
‘가장 행복한 사람은 가장 적게 소유한 것에 만족하는 사람이다’(시노페의 디오게네스, 기원전 404~323년경)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찾아와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물었을 때, '아무것도 필요없으니 햇빛을 가리지 말고 비켜 서라'고 했다는 일화로 유명한 고대의 철학자 시노페의 디오게네스. 그는 기원전 404년 흑해 남부 연안의 도시 시노페에서 태어났다. 하지만 고향에서 위조 동전때문에 곤란을 겪게 되는 바람에 아버지를 잃고 난 뒤(아버지 히케시오스는 환전상이었는데 나랏돈을 관리하는 일도 함께 맡고 있었다. 그런데 디오게네스에게 화폐를 만드는 일을 맡겼다가 욕심이 생긴 디오게네스가 돈을 위조하는 바람에 사단이 나고 만 것이었다. 그것이 정부에 걸려, 결국 아버지는 감옥에 끌려가 죽어버렸고 디오게네스는 추..
-
‘인간은 죽음을 인식할 수 없다’(에피쿠로스,기원전341~270년)philosophy/the ancient world 2022. 6. 16. 15:37
‘인간은 죽음을 인식할 수 없다’(에피쿠로스,기원전341~270년) 에피쿠로스는 기원전 341년 2월, 소아시아의 에게해 사모스 섬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 네오클레스(Neocles)와 카이레스트라테는 모두 아테네 출신이었다. 시민이었던 그들이 에게해의 사모스 섬으로 이주를 결심한 것은 에피쿠로스가 태어나기 십년 전의 일이었다. 에피쿠로스는 플라톤의 제자로부터 처음 철학을 배웠다고 알려져 있다. 바로 플라톤 학자였던 팜필루스에게서 였는데, 그 아래에서 4년동안 철학을 공부한 후 18살이 되던 해에 에피쿠로스는 2년 동안 아테네에서 군인으로 복무를 하게 된다. 그가 군입대를 한 뒤 기원전 323년 알렉산더 대왕이 사망하고 곧 정치적 갈등의 시기가 도래하자, 그의 가족은 콜로폰(Colophon, 현재의 터키..
-
‘모든 이해는 감각에서 시작된다(아리스토텔레스,기원전384~322년)’philosophy/the ancient world 2022. 6. 14. 15:50
‘모든 이해는 감각에서 시작된다(아리스토텔레스,기원전384~322년)’ 스승 플라톤과 함께 서양철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로 추앙받는 고대 그리스의 사상가 아리스토텔레스는 기원전 384년 오늘날의 그리스 북동지역에 위치한 칼키디케(Chalcidice)반도의 작은 도시 스타기라(stagira)라는 곳에서 태어났다. 마케도니아 왕 아민타스 2세의 시의(侍醫)였던 부친 니코마코스와 그리스 에비아 섬 서부 연안에 위치한 도시 할키스 출신의 모친 파이스티스 사이에서 태어난 아리스토텔레스는 그 덕분에 왕자 필리포스 2세의 소꿉동무로 궁정에서 자랐으며, 어린시절부터 일찌감치 귀족계급의 일원으로서 교육을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어려서 양친을 여읜 뒤 그는 연고자인 프록세노스의 피후견인으로 자라나게 된다. 그와 플라톤..
-
‘인간은 하나의 소우주’(데모크리토스,기원전460~371년경)philosophy/the ancient world 2022. 6. 3. 09:23
‘인간은 하나의 소우주’(데모크리토스,기원전460~371년경) 데모크리토스는 기원전 460년경 그리스 북부 트라키아의 해안 도시인 압데라라는 곳에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난 집안은 그리스의 시민 계급으로서 꽤나 유복했던 가문이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그토록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던 그는 젊은 시절 아버지인 헤게시스트라토스에게서 물려받은 재산의 거의 전부를 탕진하고 만다. 탕진의 원인은 바로 여행. 바빌로니아와 이집트를 여행하며 돈을 낭비한 것이 바로 그 원인이었다. 여행을 통해 학식과 견문을 쌓은 그는 유산을 탕진한 뒤 빈털터리로 돌아와 이후 형제인 다마소스에게 생계를 지원받으며 살았다고 전해진다. 이후 사람들에게 미래의 일을 예언함으로써 명성을 얻었다는 이야기도 있고, 자신의 책 《대우주 체계》를 사람들..
-
‘복숭아를 받으면, 자두로 갚는다’(묵자,기원전470~391년경)philosophy/the ancient world 2022. 5. 29. 18:10
‘복숭아를 받으면, 자두로 갚는다’(묵자, 기원전 470~391년경)’(묵자,기원전470~391년경) 묵자(墨子)는 기원전 470년경(사실 묵자가 언제 태어났는지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의 사상에 대해 제자들이 기록하여 남긴 《묵자》와 전후의 다른 사상가들이 말한 바에서 대략을 알 수 있을 뿐이다. 기원전 470470년 경이라는 것은 그가 아마 공자 사망 전후에 태어났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또한 사망 연도 또한 불분명한데 이 또한 맹자가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이전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송나라(현재 허난 성 상구)에서 태어났다. 초기 전국 시대에 제자백가 중 묵가(춘추전국시대에 존재하였던 제자백가의 한 학파로, 묵자를 시조로 하며, 전국시대에 활약하다가, 진시..
-
‘만물의 척도는 인간’(프로타고라스, 기원전490~420)philosophy/the ancient world 2022. 5. 27. 16:30
‘만물의 척도는 인간’(프로타고라스, 기원전490~420) 프로타고라스는 기원전 490년 그리스 북동쪽의 아브데라(Abdera, 그리스 북부의 트라키에서 네스토스 강이 에게 해로 흘러 들어가는 어귀에 있는 도시. 고대에 도시국가가 자리잡고 있던 곳이다.)에서 태어났다. 그는 평생을 걸쳐 곳곳을 돌아다니며 사람들을 가르쳤다고 알려져 있지만 주요하게 활동했던 장소는 아테네였다. 그가 태어나던 시기의 아테네는 번창하여 중요한 도시국가로 발전한 상태였다. 페리클레스(Pericles, 기원전 445~429년, 고대 그리스 아테나이의 정치가이자, 웅변가, 장군으로 고대 그리스 시대의 역사에서 가장 유명하고 영향력 있는 인물 가운데 하나이다. 그는 그리스-페르시아 전쟁과 펠로폰네소스 전쟁 사이에 아테네의 지도자로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