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학은 곧 인류학이다’, 루트비히 안드레아스 포이어바흐(서기 1804~1872년)philosophy/the age of revolution 2022. 12. 23. 12:06반응형
‘신학은 곧 인류학이다’, 루트비히 안드레아스 포이어바흐(서기 1804~1872년)
19세기 독일 철학자 루트비히 안드레아스 포이어바흐(Ludwig Andreas Feuerbach)는 카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 같은 혁명사상가들에게 영감을 준 [그리스도교의 본질Das Wesen des Christentums(1841년)]로 가장 유명하다. 이 책에서는 게오르크 헤겔의 철학사상을 상당부분 수용하지만, 헤겔은 절대정신을 지도적 힘으로 본 반면 포이어바흐는 존재를 설명하려고 우리 경험 너머를 살필 이유를 찾지 못한다. 포이어바흐에게 인간은 절대정신이 구체화된 형태가 아니라 정반대다. 즉 인간이 자신의 갈망과 욕망 때문에 위대한 정신, 신이라는 개념을 만들어낸다.
포이어바흐에 따르면, 인류의 모든 덕목(사랑, 연민, 친절 등)을 갈망하면서 우리는 이런 속성을 최고수준으로 두루 갖춘 존재를 상상한 후 ‘신’이라 일컬었다. 그러므로 신학(신을 연구하는 학문)은 인류학(인류를 연구하는 학문)과 다름없다. 우리는 신이 존재한다고 생각하도록 자신을 속였을 뿐 아니라 자기 정체성마저 잊거나 포기했다. 그런 덕목이 사실상 신이 아니라 인간에게 존재한다는 사실을 잊어버렸다. 그러므로 우리는 천국의 정의보다 인간의 정의에 관심을 더 기율여야 한다. 우리 관심을 받아 마땅한 대상은 바로 지상의 이승에 살고 있는 인간들이다.
“성경에 나오는 고대 히브리인들은 확신과 안정이 필요해서 가짜 신(금송아지)을 만들어 놓고 숭배했다. 포이어바흐는 모든 신이 이런 식으로 만들어진다고 주장한다.”
(출처:철학의 책, 지식갤러리)
반응형'philosophy > the age of revolu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금까지의 역사는 모두 계급 투쟁의 역사다.’ -카를 마르크스(서기 1818~1883년) (0) 2023.03.28 ‘인간은 자신의 육체와 정신을 다스리는 왕이다.’, 존 스튜어트 밀(서기 1806~1873년) (0) 2023.02.28 ‘인간은 자기 시야의 한계를 세계의 한계로 믿는다’, 아르투르 쇼펜하우어(서기 1788~1860년) (0) 2022.12.22 ‘현실은 역사적 과정이다’, 게오르크 헤겔(서기1770~1831년) (0) 2022.11.22 ‘철학보다 덜 철학적인 주제는 없다’, 프리드리히 슐레겔(서기 1772~1829년) (0) 2022.11.15